모든 문제의 출처는 아래
AZ-900 Exam – Free Actual Q&As, Page 1 | ExamTopics
This question requires that you evaluate the underlined text to determine if it is correct. When you are implementing a software as a service (SaaS) solution, you are responsible for configuring high availability. Instructions: Review the underlined text.
www.examtopics.com
답은 접은 글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제가 주절주절 써 놓은 것은 답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제 지식이 깊어질 때마다 업데이트는 하겠지만 (과연 그런 일이 있을까)
[더보기]를 눌러서 정답을 확인해 주세요.
사실 나는 Azure 900 자격증이 이미 있다. 운좋게 땄다.
하지만 Azure 에 대해 누가 물어보면 모르기에..
요기서 공부를 해보려고 한다. 문제 해석 / 정답 / 다 풀면 후기까지..
Q1. 예 아니오 형 문제. 각 문제당 1점씩 부분점수를 준다고 한다.
1-1. Azure 에서 Web app 을 호스팅하는 PaaS 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스팅하는 OS에 대한 Full 권한을 제공한다.
>> PaaS 는 개발자가 앉아서 바로 개발을 시작할 수 있게끔 하는 환경이라고 나는 이해하고 있다.
당연히 OS 에 대한 풀 권한을 제공할 듯. 내가 PC 쓸 때 OS 에 대한 풀 권한을 갖고 있듯이.
Y
1-2. Azure 에서 Web app 을 호스팅하는 PaaS 는 자동으로 플랫폼을 확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 요거는 설정하기 나름 아닐까.. Azure 의 VMSS 같은 환경을 묻는 것 같은데 그게 PaaS 단의 서비스인지는 잘 모르겠다.
N
1-3. Azure 에서 Web app 을 호스팅하는 PaaS 는 Custom application 에 지속적으로 기능을 추가 할 수 있는 전문 개발 서비스를 제공한다.
>> 요거는 잘 모르겠다. 근데 제공할 것 같아서 Y.
답은 N, Y, Y
하나 맞은 것 실화냐.. ㅎ
Q2. 또 예 아니오 형 문제. 예 아니오 형 문제 싫어..
2-1. Azure 는 CapEx와 OpEx 사이의 유연성을 제공한다. Y
이거야 맞겠지.. 사실 Cloud 만 Only 사용하면 CapEx 비용은 안 내고 OpEx 비용만 내는 거겠지만
기존에 온프레미스에 구축되어 있는 서버/스토리지를 위해 실물 서버가 필수불가결하게 필요하다면 CapEx 비용도 나갈테니까. 일단 Azure 짱 좋음 희희 하는 문제는 거의 답인 것 같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2. B2S Size 를 이용하는 2개의 Azure VM 을 만든다면 각각 VM 은 항상 같은 월 비용이 들 것이다. N
이 문제 때문에 B2S Size 가 뭔가 하고 찾아봤는데 요래요래 있었다.
B2s 사이즈는 2C / 4G / 8G의 굉장히 쩌리한 작은 사이즈의 VM 인데 윈도우 기준 한 시간당 0.065 달러를 받는다 (= 하루에 1.56달러)
출처 : https://azure.microsoft.com/en-in/blog/introducing-b-series-our-new-burstable-vm-size/
아무튼 어려서 수학 문제를 풀면서도 많이 느껴왔던 사실이지만
질문에 항상이 들어가면 열에 아홉은 틀리지 않았던가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VM A와 VM B 가 동일한 사이즈라고 하더라도.. A는 늘상 켜 있고 B는 가끔 꺼질 수도 있지 않은가.
그리고 A에 스토리지가 붙는다면 A에 Charging 되는 돈이 더 늘어나나?
갑자기 궁금해졌는데.. 요것도 확인 되면 업데이트 하겠다.
고래서 내가 생각하는 답은 N !
2-3. 만약 Azure VM 이 멈춰도 VM에 연결된 스토리지의 비용은 계속 낸다.
이게 사실이라면 순 양아치들 아니ㅇ ㅕ..
Azure 는(Azure 뿐 아니라 Cloud 는) 사용량 기반해서 과금하니까 틀리지 않았을까 ? 답은 N !
답은 Y, N, Y
Azure 는 양아치였다. 모든 리소스를 잘 끄고 다니는 것으로 하자.
Q3. 드디어 예 아니오 아닌 문제 ~! 이 문제는 밑줄이 그어진 텍스트(이미지에는 밑줄이 없지만)를 보고 정확한지 아닌지 보면 된다. 정확하면 A를 고르고 안 정확하면 문장을 정확하게 만드는 선택지를 선택하면 된다.
This Question requires that you evaluate the underlined text to determine if it is correct.
when you are implementing SaaS solution, you are responsible for configuring high availability.
SaaS Solution 을 구현하는 경우, 고가용성에 대한 고려를 할 필요가 있다.
눈치로 요 부분이 밑줄 인 것 같다.
A. No change is needed. 저 위 문장이 맞다
B. Defining scalability rules 확장성 규칙을 정의해야 한다.
C. Installing the SaaS solution 솔루션 설치를 해야 한다.
D. Configuring the SaaS Solution 솔루션 구성을 해야 한다.
요런 문제가 시험장에서 꽤 많이 나왔던 기억이 난다.
C와 D의 맥락차이가 굉장히 헷갈렸던 기억도 나고... (이래서 Azure 시험은 꼭 영어로 응시하고 틈틈히 한국어를 봐야 한다)
SaaS 자체가 모든 게 설치가 되어서 나오는 거니까.. 구성은 내가 하면 되는 게 아닐까.. 답은 D!
답은 D
Q4.
You have an on-premises network that contains several servers.
You plan to migrate all the servers to Azure.
You need to recommend a solution to ensure that some of the servers are available if a single Azure data center goes offline for an extended period.
What should you include in the recommendation ?
A. Fault tolerance
B. Elasticity (탄력성 ?)
C. Scalability (확장성)
D. Low latency (짧은 지연 시간)
몇몇 서버가 있는 온프레미스 네트워크가 있다. 모든 서버를 Azure 로 이관하는 것을 계획중인데, 어떤 Azure 데이터 센터가 장기간 오프라인 상태가 되어도 서버를 사용할 수 있게끔 하는 솔루션을 추천해야 한다. 뭘 추천해야 할까?
Azure 데이터 센터 간 복제를 가능하게끔 하는 솔루션을 추천해야 할 거 같은데.. 이 중 이중화 요건을 얘기하는 게 A밖에 없긴 한데 왜 A가 답인지는 명확하게 모르겠다. 뭔가 D/C 간 복제를 하는 구성을 의미하는 단어가 있지 않았나..?
답은 A
'AzureHuman > AZ9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AZ-900] Azure 자격증 진짜 따러 발돋움 #2 (Q5-Q10) (0) | 2020.09.06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