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용을 써도 virtualbox guest 모듈이 설치가 안됐다.
진짜 개빡쳤음.
복사 붙여넣기도 안되는데 대체 이 VM을 어디다가 쓴단말임? ㅡㅡ
그래서 그냥 다른 툴을 쓰기로 했다.
1) 호스트(virtualbox 설치한 PC) 에서 VM으로 네트워크 되게 만들어주기
2) SSH 접속 클라이언트 (putty or Xshell) 설치
3) Xshell 로 시원한 사용
3-1) 부록 겸 팁: Xshell 드래그 하면 복사 되게 하기, 세션 전체로 명령 날리기
나는 하면서 몇단계 삽질을 했지만 겁나 쉽다.
1) 호스트(virtualbox 설치한 PC) 에서 VM으로 네트워크 되게 만들어주기
이 단계에서 나의 Virtualbox 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활성화가 안되어 있었다.
그래서 한참 삽질함.
노란음영 명령어를 날렸을 때 enp0s3 이 비활성화되어 있다면
nmcli connection up 명령어로 enp0s3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시켜주면 된다.
보통 10.0.2.15 라는 ip를 할당받는 것 같다.
할당이 잘 되었는지는 nmcli connection show 하고 ifconfig 로 확인해 보면 됨.
근데 진짜 환장하겠는 게 CentOS 는 리붓할때마다 요 인터페이스가 자동으로 올라오게끔 설정이 안되어 있나 봄 ㅡㅡ
미치셨어요?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p0s3 으로 이동해서 onboot 부분 yes로 변경해준다.
그러고 이제 내 컴푸타의 IP를 확인해 본다.
근데 이것도 보통 192.168.56.1 로 할당 되는듯
그러고 Virtualbox의 네트워크 세팅을 확인해 준다.
네트워크 > NAT > 포트 포워딩 눌러준다.
호스트에 어댑터 뭐쩌구로 선택하면 아예 호스트 IP 중 일부를 받는 거 같은데
굳이 그럴 필요는 느끼지 못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Virtualbox 를 여러 개 만들거면 NatNetwork 로 설정해 두는 것도 괜찮을 것.. 같아서 갑자기 NatNetwork 로 바꿈.
대략 차이점은
NAT > 호스트 > 게스트 통신 됨. 근데 게스트 간 통신 안됨
NatNetwork > 호스트 > 게스트 통신 됨. 게스트 간 통신 됨.
*** 요건 NAT로 만드는 방법
요러고 포트 포워딩 설정 추가해주면 되는데 그건 아래 NatNetwork 설정 방법과 똑같다.
******* 요건 NatNetwork 로 만들기
Virtualbox 에서 파일 > 환경설정 에서 네트워크 가서 NatNetwork 추가해주기.
속이 편하고 싶다면 다른 설정은 걍 놔두고 포트 포워딩 설정만 추가해주는 편이 좋다.
아까 찾은 호스트 IP(내 PC IP) 랑 게스트 OS IP를 매핑해 준다.
호스트 포트는 맴대로 지정하면 됨.
그러고 다시 Virtualbox 의 환경설정으로 돌아와서
NatNetwork 할당해 주면 끝.
이 모든 작업은 혹시 모르니 게스트 OS 를 끄고 하는 편을 추천한다.
아까 onboot 부분 수정 안해줬으면 게스트 OS 껐다 키면 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죽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 SSH 접속 클라이언트 (putty or Xshell) 설치
XSHELL 은 여기서 받아주면 된다.
가정용으로는 무료다.
넷사랑은 정말 사랑임.
https://www.netsarang.com/ko/free-for-home-school/
xSHELL 7 부분 받으면 되고, XFTP 는 원하면 받으새요.
3) Xshell 로 시원한 사용
세션은 요래 등록해 주면 된다.
3-1) 부록 겸 팁: Xshell 드래그 하면 복사 되게 하기, 세션 전체로 명령 날리기
3-1-1. Xshell 창에서 드래그 하면 바로 복사가 되게 하는 기능
도구 > 옵션 누르기
키보드와 마우스 탭 > 선택한 텍스트를 자동으로 클립보드에 복사 체크해주면 된다.
이 기능이 장단점이 있다고 슨배님은 말씀하셨지만
내 기준 장점밖에 없음. 리얼 개편해요.
3-1.2. 열린 세션 전체로 명령 날리기
열린 세션 전체로 명령 날리는 방법인데, 이건 운영 환경에서 여러 대 서버에 명령 날릴 때 편하다.
보기 > 작성 > 작성 바 클릭하기
그러면 요런 놈이 생기는데, 앞에 저 파란 동그라미한 cmd 창 같은 것을 클릭해준다.
요렇게 바뀌면 끝.
나의 경우는 창을 띄워놓는 건 아예 다른 상황이라 [모든 세션으로]를 선택 했는데 자기 맘대로 하면 됨.
이제 끝~~~~~~~~~~~~~~
복사 붙여넣기 손쉽게 shift+insert, Ctrl + Insert 로 하면 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기타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이런저런 기본 커멘드 : MongoDB, Nginx (0) | 2023.06.02 |
---|---|
[VMware] VSAN 로그 점검, 호스트 점검 커멘드 (0) | 2023.06.02 |
[Windows] Edge 브라우저 업데이트 하기 싫어요 (0) | 2023.06.02 |
시스템엔지니어가 알아두면 좋은 Command 5. Weblogic, OHS 편 (0) | 2023.06.02 |
시스템엔지니어가 알아두면 좋은 Command 4. Cisco UCS 관리 편 (0) | 2023.06.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