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ureHuman/AZ103

[AZ-103] AZ103 자격증 따러가자 #5 (Q16-Q18)

채채1013 2020. 10. 10. 23:00
출처는 www.examtopics.com/exams/microsoft/az-103/view/  (다 영어임 ^^)

글쓴이가 AZ-103을 따기 위해 연습하는 글이기 때문에 답은 반드시 '더보기' 로 확인해 주셔야 합니다.


※ 글쓴이를 믿었다가 발생하는 참사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

※ 컴퓨터로 보실 때 더 정돈이 잘 되어 있습니다.

 

 

 

여러분 안녕하세요 ~~

 

 

 

 

죽지도 않고 제가 또 돌아왔습니다

 

 

 

 

 

 

 

알아요 안다구욧 아무도 안 보는거...............!!!!!!!!!!! (ㅠㅠ) ((((((((나))))))))

 

 

그래도 힘차게 추울발~~~~~~~ ! 뿌뿌~~~

 

 

 

 

 

 


Q15. HOTSPOT -

You have an Azure subscription named Subscription1.
You plan to deploy an Ubuntu Server virtual machine named VM1 to Subscription1.
You need to perform a custom deployment of the virtual machine. A specific trusted root certification authority (CA) must be added during the deployment.

What should you do? To answer, select the appropriate options in the answer area.
NOTE: Each correct selection is worth one point.

Hot Area:
Q15. Subscription1 이라는 이름의 Azure 구독이 있다.

VM1이라는 Ubuntu Server VM을 Subscription1에 배포할 계획이다.
가상 시스템의 사용자 지정 배포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 구축 과정에서 특정 신뢰할 수 있는 루트 인증 기관(CA)을 추가해야 한다.

어떻게 해야 할까? 적절한 옵션을 선택해라.
참고: 부분점수 1점씩 줌

 

이 문제에서는 슬쩍 지나간 Ubuntu VM 이라는 점이 문제를 푸는 데 단서가 된다.

 

 

 

 

 

1. File to create (만들 파일)

 

1-1. Answer.ini / 1-2. Autounattend.conf

 

요것들은 검색해봐도 뭐가 안나온다. 문제를 위해 만든 용어인가.. ? 혹시 내용을 찾게 되면 추가예정

 

 

 

 

 

 

 

1-3. Cloud-init.txt

 

Cloud-init 은 처음 부팅 시 Linux VM을 사용자 지정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란다. Cloud-init를 사용하여 패키지를 설치하고 파일을 쓰거나, 사용자 및 보안을 구성할 수 있다.

 

Cloud-init는 배포에서도 작동합니다. 예를 들어, 패키지를 설치하는 데 apt-get install 또는yum install은 사용하지 않는단다 ! (신기) 대신 설치할 패키지 목록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해보면 좀 좋을 거 같은데 ㅠㅠ 시험 공부를 위해서는 Cloud-init 을 편집하면 리눅스 VM 을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대로 설정할 수 있다. 요 정도만 알아두면 될 것 같다.

 

 

요 사이트를 방문해보면 Cloud-init 설정 방법을 알려 주는데

cloudinit.readthedocs.io/en/latest/topics/examples.html

 

요렇게 CA(신뢰할 수 있는 루트 인증기관)을 구성하는 방법도 알려준다.

 

 

 

 

 

 

 

1-4. unattend.xml

 

요 파일에 대해 좀 뒤져보니 Azure 에서 아래와 같은 문서를 발견했다.

 

 

 

 

...

 

 

 

 

애저형... 이걸 번역이라고........

 

 

 

 

 

 

 

 

 

 

땀...

 

 

 

 

 

보호된 VM 이란 영어 원문으로 Shielded VM 인데 요거는 보안이 강화된 VM 이다.

 

 

 

요런 일을 해준단다. 요거를 만들 때 사용하는게 unattend.xml 인듯.

 


 

 

2. Tool to use to deploy the VM (VM 배포를 위해 사용할 Tool)

 

cloud-init 파일 작성이 끝나면 az vm create 로 VM을 만들면 된다.

--custom-data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cloud-init 구성 파일을 전달하면 된다. 

 

 

레퍼런스를 확인해 보면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입력한다.

 

 

 

 

 

정답은 아래 확인 ▽

더보기

레퍼런스 : 
https://docs.microsoft.com/en-us/azure/virtual-machines/linux/tutorial-automate-vm-deployment
https://cloudinit.readthedocs.io/en/latest/topics/examples.html
https://cloud.google.com/shielded-vm?hl=ko

 

 

 

 

 

 

 


 

 

 

 

 

 

 

Q17. HOTSPOT -

You have an Azure subscription named Subscription1.
In Subscription1, you create an alert rule named Alert1.
The Alert1 action group is configured as shown in the following exhibit.


Alert1 alert criteria is triggered every minute.

Use the drop-down menus to select the answer choice that completes each statement based on the information presented in the graphic.

NOTE: Each correct selection is worth one point.

Hot Area:

Q17. 핫스팟 - (이제 정겨워짐)

Subscription1 이라는 이름의 Azure 구독이 있다.
Subscription1 에서 Alert1이라는 alert rule을 생성해라.

Alert1 action group은 다음 그림과 같이 구성된다.


Alert1 경보 기준은 매분마다 트리거된다.
그림에 표시된 정보를 기반으로 옳은 답을 택하시오.

참고: 부분점수 1점 줌
Hot Area:

1) Alert1이 한 시간에 보내는 Email messages 의 개수는 ? 
2) Alert1이 한 시간에 보내는 SMS messages 의 개수는 ? 

 

문제에서 뭐 숫자스러운 건 단 하나도 안써있다. 

다만 1분에 하나씩 Alert 가 트리거된다는 얘기는 있는데,

Azure 는 알람 기능에 제한이 있는 게 몇 개 있다.

 

  • SMS: 5분마다 SMS 1개 이하

  • 음성: 5분마다 음성 1개 이하

  • Email: 시간 당 이메일 100개 이하.

  • 다른 작업은 속도 제한이 없다.

 

이메일의 경우 : 1분에 하나씩 1시간 동안 알림을 보내도 60개, 100개 미만이므로 60개가 발송될 거임

SMS 의 경우 : 5분에 하나씩밖에 못 보내기 때문에 12개까지만 가능.

 

음성 SMS 는 5분에 하나만 되는 건 외워둘 필요가 있을 듯.

 

 

 

정답은 아래 확인 ▽

더보기
레퍼런스는 여기. https://docs.microsoft.com/ko-kr/azure/azure-monitor/platform/alerts-rate-limiting

 

 

 

 

 

 

 


 

 

 

 

 

 

 

Q18. You have an Azure subscription.

You have an on-premises virtual machine named VM1. The settings for VM1 are shown in the exhibit. (Click the Exhibit tab.)



You need to ensure that you can use the disks attached to VM1 as a template for Azure virtual machines. What should you modify on VM1?

A. the hard drive
B. the processor
C. the network adapters
D. the memory
E. Integration Services

 

Q18. Azure 구독이 있다. VM1이라는 이름의 사내 가상 시스템(On-premises VM)이 있고, VM1에 대한 설정은 아래그림에 나와 있다. 


VM1에 연결된 디스크를 Azure VM의 템플릿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VM1에서 뭘 수정해야 할까?

A. 하드 드라이브
B. 프로세서
C. 네트워크 어댑터
D. 메모리
E. 통합 서비스(Integration Services)

 

온프레미스에서 Azure 로 가상머신을 업로드하기 전에, 가상 하드디스크 (VHD, VHDX)를 준비해야 한다.

Azure 는 VHD 파일 형식이고 1세대/2세대 VM 을 모두 지원한다.

 

댓글을 보니 OS VHD 의 경우 2TB, VHD 의 경우 1023GB 까지 지원한다고.

 

 

 

(+) Azure Integration Service

 

클라우드 및 온프레미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여기서 설명된 내용을 보면 서버리스 컴퓨팅을 갖다가 인티그레이션 서비스로 부르는 모양인 듯 하기도..

 

 

Azure Logic Apps 의 경우에는 Q14 번에서도 살짝쿵 등장한 적이 있다.

infrajang2.tistory.com/9?category=909336

 

 

 

 

 

정답은 아래 확인 ▽

더보기
정답은 A. 사이트에 있는 원문을 옮겨 왔다.

From the exhibit we see that the disk is in the VHDX format.
Before you upload a Windows virtual machines (VM) from on-premises to Microsoft Azure, you must prepare the virtual hard disk (VHD or VHDX). Azure supports only generation 1 VMs that are in the VHD file format and have a fixed sized disk. The maximum size allowed for the VHD is 1,023 GB. You can convert a generation 1 VM from the VHDX file system to VHD and from a dynamically expanding disk to fixed-sized.
Reference:
https://docs.microsoft.com/en-us/azure/virtual-machines/windows/prepare-for-upload-vhd-image?toc=%2fazure%2fvirtual-machines%2fwindows%2ftoc.json

 

 

 

 


오늘꺼는 좀 짧네영

서버리스 컴퓨팅 부분 누가 한번더 설명좀 해줬으면............ ㅎ